공지사항 > 공지사항

오는 5.25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중화방송 송출 기념식 개최 예정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6.05.20 조회 6,606
한류방송의 본격적인 중국 진출에 이어 중국의 주요 방송 채널을 한국에서 손쉽게 볼 수 됐다.

중국 국영 IPTV 사업자인 아이샹(愛上)TV의 한류채널(韩流频道)에 한류 방송콘텐츠를 독점 공급하고 있는 주식회사 한류TV서울(대표 이용재, 이하 한류TV서울)은 지난 5월 1일부터 한국에서 방송 가능한 중국 채널을 한국에서의 송출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한국에서 방송되는 채널은 CCTV를 비롯하여 중국의 재무와 경제 종합판인 재경종합 채널과 베이징위성, 후난TV등 20개 채널들이다. 이와 더불어 중국재한화교협회(회장 한성호)에서 화교 등 재한 중국인들의 한국 정착을 돕기 위해 신설한 채널도 포함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CCTV.com에서 운영하는 판다채널(www.ipanda.com)의 프로그램도 한국어로 한국인들에게 소개할 예정이다. 판다채널은 2013년 4월부터 미국의 동영상 사이트에서 방송되기 시작했으며 실제 판다의 동영상을 내보내는 것이 특징이다. 판다채널은 현재 중국의 국제화 뉴미디어 플랫폼으로 2014년 말 총 조회수가 4,000만 건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야생동물 테마의 뉴미디어 플랫폼이다.

한국에서 송출되는 중화방송은 집과 회사 등 어디서나 시청이 가능한 OTT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OTT란 “Over The Top”의 약자로 TV, 인터넷 사이트, 스마트폰 등을 비롯한 N-Screen을 통해 TV, 영화, 드라마 등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용재 한류TV서울 대표이사는 “한국과 중국의 문화산업 교량 역할로서 한류채널은 한국을 중국인들에게 제대로 알리고 전파하는 일과 더불어, 중국 방송영상물을 한국인들에게 제공하여 중국의 소식과 문화, 산업 등을 소개하는 것”이라면서, “한국은 반만년의 역사를 가장 가까운 이웃 중국과 함께 해 왔듯이 양국의 방송콘텐츠 교류를 통해 앞으로도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교류를 통해 상생하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 내 중화방송 송출을 기념하기 위해 한류TV서울은 오는 5.25(수) 롯데호텔서울에서 중국 영상물의 해외 OTT 판권을 소유하고 있는 국유기업인 웨이라이(未来)TV 및 중국 CCTV.COM의 한국어방송을 위탁 운영하는 헤이룽장(黑龍江)성의 흑룡강신문사, 중국재한화교협회 등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한편, 한류TV서울은 흑룡강신문사(사장 한광천)과 협력해 지난해 베이징에 베이징CNTV미디어유한책임공사를 설립했고 아이샹TV의 한류채널을 추진해왔으며, 한류채널은 올해 3월 15일부터 산둥성과 후베이성, 광둥성, 윈난성과 네이멍구 자치구 등의 360만 IPTV 가입자에게 송출을 시작했다. 주요 방송 콘텐츠는 한국 영화, 드라마, 오락, 어린이, 레저, 교양, 게임 등 12가지에 이른다.
첨부파일
이전글 <한중방송콘텐츠교류비전선포식> 에 초대합니다.
다음글 2017"문화중국, 사해동춘"한국공연

방송산업이야기

중공 흑룡강성위 '중국 이 10년·흑룡강'주제 기자회견 개최
당부를 명기하고 신시대를 향해 분진하자 중공 흑룡강성위 '중국 이 10년·흑룡강'주제 기자회견 개최 허근 주제 발언 및 기자 질문 대답 호창승 관련 질문 대답
2022 한중 저작권 포럼 베이징에서 개최
특히 22년은 한중수교 30주년이자 한중문화교류의 해로 이번 세미나는 저작권의 중요성을 반영한 한중문화교류의 해를 맞아 기획된 행사이며, 민간교류를 극대화하고, 한중관계를 안정적으로 이끌어가며 장기적인 양국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난 8월 5일자 한국 언론에서는 최근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중국 내 저작권 침해가 심각하다고 하면서 이번 세미나를 통하여 “우영우 드라마” 사례를 제시하고 저작
중국 바이트댄스 “사이다 뮤직” 앱 서비스 진출 선언
중국 틱톡의 음악서비스 진출로 인해 중국 온라인 음악 시장이 꿈틀거린다 주류음악 앱 서비스 시장이 이제는 “숏클립 + 음악”이라는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음악과 숏클립 영상의 미디어 형식이 융합되어 뉴미디어 형태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현재 바이트댄스(중국의 뉴스 모바일 뉴스 플랫폼 今日头条를 서비스 업체)는 영상 서비스, 게임, 음악, 애니메이션, 소설(小说) 등 종합 엔터테인먼트와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iRes
중국 온라인 음원 서비스 시장에 새 바람 불까?
지난 7월 24일,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은 중국 최대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 플랫폼인 텐센트뮤직에 대하여 독점적인 음악저작권을 포기하도록 지시했다. 뿐만 아니라 최근 텐센트 게임의 인수합병을 비롯하여 2016년 텐센트뮤직이 합병을 완료한 차이나뮤직 인수 건에 대해서도 반독점법 위반이라는 명분으로 중앙정부가 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CMG와 KBS 합작서명으로 이젠 한한령 풀린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물 밑에서 진행되어 오던 “한중문화산업교류의 원년”으로 한국과 중국 양국 정상들의 공감대가 이미 형성되었고, 이제 이를 실행하기 위해 중앙방송총국(CMG)과 한국방송공사(KBS)가 지난 2월 22일(월) 온라인 영상으로 양사의 강점을 활용하여 문화산업의 다양한 방면에서 협력하기로 하는 협정을 체결했다.